Top 9 국어 교육 과정 Top Answer Update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국어 교육 과정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toplist.Experience-Porthcawl.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국어 교육 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국어, 생활국어교과서,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종류, 고1 국어 목차, 고등학교 1학년 국어,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사회과 교육과정, 국어교육 목표


기본교육과정 고등 국어 개인정보 알아보기 1 (220쪽)
기본교육과정 고등 국어 개인정보 알아보기 1 (220쪽)


국어 교육 과정

  • Article author: ceri.knue.ac.kr
  • Reviews from users: 45491 ⭐ Ratings
  • Top rated: 5.0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국어 교육 과정 그리고 문화 향유 역량은 국어로 형성・계승되는 다양한 문화를 이해. Page 10. 국어과 교육과정. 4. 하고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내면화하여 수준 높은 문화를 향유・생산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국어 교육 과정 그리고 문화 향유 역량은 국어로 형성・계승되는 다양한 문화를 이해. Page 10. 국어과 교육과정. 4. 하고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내면화하여 수준 높은 문화를 향유・생산 …
  • Table of Contents:
국어 교육 과정
국어 교육 과정

Read More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Article author: www.kice.re.kr
  • Reviews from users: 40119 ⭐ Ratings
  • Top rated: 3.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제교육동향. 국제교육동향은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교육평가에 관련된 최신 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 [중국] 일반 고등학교 국어 교과 … 2020-08-18.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제교육동향. 국제교육동향은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교육평가에 관련된 최신 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 [중국] 일반 고등학교 국어 교과 … 2020-08-18.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의 혁신을 위한 교육과정을 연구하는 기관입니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 Table of Contents:

전체메뉴

자료마당

국제교육동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ead More

국어 교육 과정

  • Article author: textbook-miraen.cdn.x-cdn.com
  • Reviews from users: 45720 ⭐ Ratings
  • Top rated: 4.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국어 교육 과정 3 국어과 과목 편제 변화 : 중학교 명칭 변경 및 고등학교 공통 ‘국어’ 편제 및 선택 과목 재편 …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의 함양이 가능한 교육과정 마련.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국어 교육 과정 3 국어과 과목 편제 변화 : 중학교 명칭 변경 및 고등학교 공통 ‘국어’ 편제 및 선택 과목 재편 …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의 함양이 가능한 교육과정 마련.
  • Table of Contents:
국어 교육 과정
국어 교육 과정

Read More

K2Web Wizard

  • Article author: www.cku.ac.kr
  • Reviews from users: 20268 ⭐ Ratings
  • Top rated: 4.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K2Web Wizard

    수정일: 2021.10.20. 작성자: 이인화. 조회수: 619. 등록일: 2021.10.20.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제2015-74호) 첨부 이미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제2015-74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K2Web Wizard

    수정일: 2021.10.20. 작성자: 이인화. 조회수: 619. 등록일: 2021.10.20.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제2015-74호) 첨부 이미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제2015-74 …

  • Table of Contents:

			K2Web Wizard
K2Web Wizard

Read More

[국어교육의 이해]#2. 국어과 교육과정 : 네이버 블로그

  • Article author: blog.naver.com
  • Reviews from users: 40137 ⭐ Ratings
  • Top rated: 3.5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국어교육의 이해]#2. 국어과 교육과정 : 네이버 블로그 ① 교수학습 수준의 교육과정 설계자 : 교사는 자신의 수업 상황에 맞게 국어과 교육을 계획하고, 이에 맞는 교육 내용을 선정, 조직하며, 이를 지도하고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국어교육의 이해]#2. 국어과 교육과정 : 네이버 블로그 ① 교수학습 수준의 교육과정 설계자 : 교사는 자신의 수업 상황에 맞게 국어과 교육을 계획하고, 이에 맞는 교육 내용을 선정, 조직하며, 이를 지도하고 …
  • Table of Contents:

blog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파일입니다

작성자 이외의 방문자에게는 이용이 제한되었습니다

[국어교육의 이해]#2. 국어과 교육과정 : 네이버 블로그
[국어교육의 이해]#2. 국어과 교육과정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국어 교육 과정

  • Article author: contents2.kocw.or.kr
  • Reviews from users: 47907 ⭐ Ratings
  • Top rated: 4.6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국어 교육 과정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총론에서 설정한 범교과 핵심역량을 반영하되, 국어. 과 고유의 목표와 특성을 고려한 ‘국어과 교과 역량’ 여섯 가지를 설정하여 이를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국어 교육 과정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총론에서 설정한 범교과 핵심역량을 반영하되, 국어. 과 고유의 목표와 특성을 고려한 ‘국어과 교과 역량’ 여섯 가지를 설정하여 이를 …
  • Table of Contents:
국어 교육 과정
국어 교육 과정

Read More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초등 국어 교육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

  • Article author: www.kci.go.kr
  • Reviews from users: 45233 ⭐ Ratings
  • Top rated: 3.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초등 국어 교육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과정에 ‘초등 국어 교육’의 정체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였다는 문제의식에 터하여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의내용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초등 국어 교육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과정에 ‘초등 국어 교육’의 정체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였다는 문제의식에 터하여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의내용을 …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speaking·listening’ domain in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 the identity of the Primary Korean Education;2015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the ‘speaking·listening’ domain;Interpersonal Communication
  • Table of Contents:

초록
열기닫기 버튼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인용현황

KCI에서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의 수는 2건입니다

열기닫기 버튼

참고문헌(35)
열기닫기 버튼

2020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초등 국어 교육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초등 국어 교육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

Read More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 성격 및 목표 :: 교육학 및 교육관련 연수 자료마당

  • Article author: vkdlfl11.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19339 ⭐ Ratings
  • Top rated: 3.7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 성격 및 목표 :: 교육학 및 교육관련 연수 자료마당 국어 능력이 부족하면 효과적인 학습이 어렵고 결과적으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는 학교생활을 통해 폭넓은 국어 경험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 성격 및 목표 :: 교육학 및 교육관련 연수 자료마당 국어 능력이 부족하면 효과적인 학습이 어렵고 결과적으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는 학교생활을 통해 폭넓은 국어 경험을 … 1. 성격 국어는 대한민국의 공용어로서 사고와 의사소통의 도구이자 문화 창조와 전승의 기반이다. 학습자는 국어를 활용하여 자아를 인식하고 타인과 교류하며 세계를 이해한다. 또한 다양한 국어 활동을 통해 문..
  • Table of Contents: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 성격 및 목표

티스토리툴바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 성격 및 목표 :: 교육학 및 교육관련 연수 자료마당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 성격 및 목표 :: 교육학 및 교육관련 연수 자료마당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 794 tips update new.

[국어교육의 이해]#2.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교육의 이해]#2. 국어과 교육과정 공부흔적 / 딘동쌤 https://blog.naver.com/findme22/221538625525 이 글을 보낸곳 (1) 국어 교육의 이해 작가 최미숙, 원진숙|정혜승|김봉순|이경화|전은주 출판 사회평론아카데미 발매 2016.02.25.

1. 국어과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1)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념 ① 협의 : 단위 과정에서 이수해야 할 교과(내용)의 목록 ② 광의 : 어떤 하나의 고정화된 실체가 아니라 교육 목적의 달성과 관련된 일체의 계획과 실천이며, 역동적이고 상호작용적인 하나의 현상을 아우르는 개념 ③ 기타 다양한 해석 : 계획된 활동/학교의 지도 아래 학생이 겪는 실제 경험/수행할 일련의 과업/의도한 학습 결과/문화적 재생산의 도구/사회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등 (2)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 ① 교육과정 활동 :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개발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교육과정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개발, 운영, 평가) ② 교육과정 체제 ㉠ 중앙집권적 교육과정 체제 – 국가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활동을 하며, 지역이나 학교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역할을 담당 – 교육과정의 운영이 획일화되고 경직되기 쉬우며, 권위주의적 교육 풍토를 조성할 가능성이 있으며, 한번 제정된 교육과정을 개정하기 어려우며, 교사가 교육과정 문제로부터 소외될 가능성이 있으며, 다양한 교육과정의 운영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지방분권적 교육과정 체제 – 교육과정의 개발, 운영, 평가의 모든 활동이 지역이나 학교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것 – 전국적으로 합의된 교육과정을 가지기가 어려우며, 전문가, 예산, 시간 등의 부족으로 질적 수준이 낮은 교육과정이 되기 쉬우며, 지역 중심, 학교 중심, 교사 중심에 치우쳐 교육 개형이 전파되기 어려우며, 지역, 학교 간의 격차가 심화될 가능성과 국가 수준에서 학교 교육을 주도하고자할 때 정책 시행에 한계가 있다. → 어느 한 체제를 선택하기보다 각각이 지닌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절충형이 바람직하다. ③ 국어과 교육과정 수준 ㉠ 국가 수준의 국어과 교육과정 – 학교 교육의 규범성과 균질성을 꾀할 수 있다. – 각 지역과 학교, 학급 등의 특성을 모두 반영하기 어렵고, 너무 구체적이고 상세히 제공되면 지역과 학교의 자율성, 교사의 전문성을 침해하게 된다. ㉡ 지역 수준의 국어과 교육과정 : 시, 도에 있는 교육 자치 단체가 지역의 특성에 맞게 국가 수준의 국어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것으로 학교 수준의 국어과 교육과정의 방향을 제시한다. ㉢ 학교 수준의 국어과 교육과정 : 학교의 실태와 학생들의 특성, 요구 등을 고려하여 지역 수준의 국어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것으로 교수학습 수준의 국어과 교육과정에 영향을 주게된다. ㉣ 교수학습 수준의 국어과 교육과정 : 교과서와 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으로 재구성된 국가 수준의 국어과 교육과정을 실제 교수학습으로 실현하는 현상을 말한다. (3) 국어과 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 ① 교수학습 수준의 교육과정 설계자 : 교사는 자신의 수업 상황에 맞게 국어과 교육을 계획하고, 이에 맞는 교육 내용을 선정, 조직하며, 이를 지도하고 평가하는 교육과정 설계자이다. ② 교육과정 실천자 : 교사는 교과서라는 수업 자료를 자신의 교실 수업 상황에 맞게 적극적으로 재구성해서 사용하여 국가에서 고시한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실행해 가는 교육과정 실천자다. ③ 교육과정 평가자 : 교사는 교육과정 실천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평가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교육과정 평가자다. 2. 국어과 교육과정은 어떤 기능을 할까 ① 일반적 기능 : 교육의 과정에서 교육 공동체가 어떤 결정을 내릴 때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규범성과 균질성을 꾀할 수 있게 한다. 즉 교육과정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② 국어과 교육의 체제를 관리한다. – 시간 배당 – 목표와 수준, 영역, 선택 과목 등에 대한 표준 ③ 국어과 교수학습 계획의 기준이 된다. – 국어과 교수학습을 위해 언제, 무엇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표준적인 내용이 담겨있다. ④ 국어과 교수학습 내용의 기준이 된다. – 교육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다루어야 할 교수학습의 내용과 순서에 제공 ⑤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의 기준이 된다. – 교수학습 계획, 실천, 자료 제작 등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세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⑥ 국어과 교수학습 평가의 기준을 제공한다. – 평가 계획, 평가 목표 설정과 내용 선정, 평가 방법 등의 유의점에 대하여 안내 3. 국어과 교육과정은 어떻게 변해 왔을까 (1) 교수요목기(교과 중심 교육과정) (2) 제1~3차 국어과 교육과정(경험 중심 교육과정) (3) 제4차 국어과 교육과정(학문 중심 교육과정) (4) 제5차~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인간 중심 교육과정) (5)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6)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2011 개정 교육과정) ① 5대 영역 구분 : 통합 영역으로서의 ‘듣기, 말하기’ 등장 ② 학년군 성취기준 제시 ③ 내용 체계의 변화 : ‘맥락’ 범주의 삭제와 ‘태도’ 범주의 부활 ④ 선택 과목의 재구조화 – 고등학교 전 과정을 선택 과목 체제로 바꾸었다. -‘국어Ⅰ, 국어Ⅱ, 고전’의 신설과 기존 과목의 통합(화법과 작문, 독서와 문법, 문학) 4.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은 무엇일까 (1) 국어과 교과 역량의 함양 총론 핵심 역량 국어과 교과 역량 개념 창의적 사고 역량 비판적, 창의적 사고 역량 다양한 상황이나 자료, 담화, 글을 주체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고 평가하여 새롭고 독창적인 의미를 부여하거나 만드는 능력 지식정보처리 역량 자료, 정보 활용 역량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수집, 분석, 평가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의사를 결정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의사소통 역량 의사소통 역량 음성언어, 문자언어, 기호와 매체 등을 활용하여 생각과 느낌, 경험을 표현하거나 이해하면서 의미를 구성하고 자아와 타인, 세계의 관계를 점검, 조정하는 능력 공동체 역량 공동체, 대인 관계 역량 공동체의 가치와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상호 협력하며 관계를 맺고 갈등을 조정하는 능력 심미적 감성 역량 문화 향유 역량 국어로 형성, 계승되는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내면화하여 수준 높은 문화를 향유, 생산하는 능력 자기관리 역량 자기 성찰, 계발 역량 삶의 가치와 의미를 끊임없이 반성하고 탐색하며 변화하는 사회에서 필요한 재능과 자질을 계발하고 관리하는 능력 (2) 내용 체계의 변화 : 전 교과 공통의 내용 체계 반영 ① 내용 체계(전 교과 공통) – 가로축 : 핵심개념, 일반화된 지식, 학년(군)별 내용 요소, 기능 – 세로축 : 본질, 수행, 태도(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성격을 고려) ② 영역별로 교수학습해야 할 내용을 특성이 같은 것끼리 범주화하고 이들 범주의 하위 내용과 학년(군)별 세부 내용을 성취기준 간의 연계성을 체계적으로 구조화 하였다.(균형있게 구성, 배치) (3) 선택 과목의 재구조화 : ‘독서’와 ‘언어와 매체’의 편성과 ‘실용 국어’와 ‘심화 국어’의 신설 ① 고등학교 국어 교과 구조를 기존의 선택과정 체계에서 공통 과목과 선택과목으로 편제하고, 선택 과목은 다시 일반 선택 과목과 진로 선택 과목으로 세분화하였다. – 일반 선택 과목 :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 진로 선택 과목 : 실용 국어, 심화 국어, 고전 읽기 ② ‘독서’와 ‘언어와 매체’가 편성되었다. (4) 성취기준 제시 방식의 변화 ① 성취기준 제시 후 하위에 ‘학습요소-성취기준 해설-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함께 기술 – 학습 요소 : 성취기준과 관련된 내용의 범위와 수준을 명료하게 하기위한 것 ② 국어과 교육의 전반에 적용되는 방법, 평가에 대한 것은 별도로 공통 국어의 성취기준을 모두 제시한 후 4장에 별도로‘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 기술하였다. 5. 국어과 교육과정 변천의 쟁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 국어과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 6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와서 ‘성격-목표-내용-방법-평가’의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 그 이후는 구성 체제의 기본 구조는 그대로 하고 미시적인 부분에서 변화가 있었다. 6차 2009 개정(2011 개정) 2015 개정 성격 목표 내용 가) 내용 체계

나) 학년별 내용 4. 방법 5. 평가 추구하는 인간상 학교급별 교육 목표 가) 초등학교 교육 목표 나) 중학교 교육목표 3. 목표 4. 내용의 영역과 기준 가) 내용 체계 나) 학년군별 세부 내용 5. 교수학습 방법 가) 교수학습 계획 나) 교수학습 운용 6. 평가 가) 평가 계획 나) 평가 운용 다) 평가 결과 활용 성격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가) 내용 체계 나) 성취기준 4.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가) 교수학습 방향 나) 평가 방향 (2) 국어과 교육의 내용 ① 국어과의 내용관 – 지식 중심의 내용관 : 교육의 내용을 국어 활동에 관한 지식과 관련하여 개념과 명제의 형태로 제시 – 과정 중심의 내용관 : 교육의 내용을 국어 교수학습의 상황 및 절차의 구조로 제시 – 경험 중심의 내용관 : 교육의 내용을 교수학습의 결과로 학습자가 지니게 될 언어 경험의 유형으로 제시 – 기능 중심의 내용관 : 교육의 내용을 언어 수행과 관련되는 국어 능력의 하위 기능들로 제시 – 가치 중심의 내용관 : 교육의 내용을 국어문화와 관련하여 태도 및 가치관을 함양하기 위한 사전 조건으로 제시 – 전략 중심의 내용관 : 교육과 내용을 언어 수행에 관한 상위 인지적 전략 획득을 위한 하위 전략으로 제시 ② 국어과 교육의 내용은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관이 어떠한가에 영향을 받는다. (3) 국어과 교육의 영역 구분 ① 영역 구분의 의미 – 국어과 교육과정을 구성 체제에 따라 영역별로 제시하는 것은 국어과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 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 그러나 지나친 구분은 언어가 가진 총체성을 간과하고 자칫 영역 중심의 교수학습으로 흐를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 각 영역의 특수성과 영역 간의 통합성을 모두 고려한 교수학습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해야한다. ② 영역 구분 방법 ㉠ 3분법 : 표현, 이해/언어/문학 ㉡ 4분법 : 말하기/듣기/읽기/쓰기 ㉢ 5분법 : 읽기/말하기/듣기/쓰기/짓기 – 2009 : 듣기, 말하기/읽기/쓰기/문법/문학 – 2015 듣기, 말하기/읽기/쓰기/문법/문학 ㉣ 6분법 : 말하기/듣기/읽기/쓰기/문법/문학 (4) 국어과 교육의 내용 체계 ① 내용 체계 : 교과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 영역과 수준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제시한 것이다.(6차 이후 내용을 ‘내용 체게“로 보여준 뒤 학년별로 내용을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 내용을 유목화하여 범주를 설정하고 각 영역에서 지도해야할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 ② 2009(2011) – ‘맥락’범주(2007)가 사라지고 ‘태도’범주를 다시 설정 – 실제/지식/기능/태도로 범주화하고 이에 따라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실제 • 다양한 목적의 글 읽기 -정보를 전달하는 글 -설득하는 글 -친교 및 정서 표현의 글 • 읽기와 매체 지식 기능 태도 • 읽기의 본질과 특성 • 글의 유형 • 읽기와 맥락 • 낱말 및 문장의 이해 • 내용 확인 • 추론 • 평가와 감상 • 읽기 과정의 점검과 조정 • 가치와 중요성 • 동기와 흥미 • 읽기의 생활화 ③ 2015 – 내용 체계의 각 항과 교육 내용의 긴말한 구조화를 시도하였으며, 내용 체계와 내용 성취기준이 바로 연계가 되며 내용 체계를 통해 국어과 교수학습 내용 전체를 체계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학년(군)별 내용 요소 기능 초등학교 중학교 1∼3학년 고등학교 1학년 1∼2학년 3∼4학년 5∼6학년 ‣읽기의 본질 읽기는 읽기 과정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며 의미를 구성하고 사회적으로 소통하는 행위이다. ∙의미 구성 과정 ∙문제 해결 과정 ∙사회적 상호

작용 ∙맥락 이해

하기 ∙몰입하기 ∙내용 확인

하기 ∙추론하기 ∙비판하기 ∙성찰・공감

하기 ∙통합・적용

하기 ∙독서 경험

공유하기 ∙점검・조정

하기 ‣목적에 따른 글의 유형 ∙정보 전달 ∙설득 ∙친교・정서 표현 ‣읽기와 매체 의사소통의 목적, 매체 등에 따라 다양한 글 유형이 있으며, 유형에 따라 읽기의 방법이 다르다. ∙글자, 낱말, 문장, 짧은 글 ∙정보 전달, 설득, 친교 및 정서 표현 ∙친숙한 화제 ∙정보 전달, 설득, 친교 및 정서 표현 ∙사회・문화적 화제 ∙글과 매체 ∙정보 전달, 설득, 친교 및 정서 표현 ∙사회・문화적 화제 ∙한 편의 글과 매체 ∙인문・예술, 사회 ・문화, 과학・

기술 분야의

다양한 화제 ∙한 편의 글과

매체 ‣읽기의 구성 요소 ∙독자・글・맥락 ‣읽기의 과정 ‣읽기의 방법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창의적 이해 ∙읽기 과정의 점검 독자는 배경지식을 활용하며 읽기 목적과 상황, 글 유형에 따라 적절한 읽기 방법을 활용하여 능동적으로 글을 읽는다. ∙소리 내어 읽기 ∙띄어 읽기 ∙내용 확인 ∙인물의 처지 ・마음 짐작하기 ∙중심 생각 파악 ∙내용 간추리기 ∙추론하며 읽기 ∙사실과 의견의 구별 ∙내용 요약

[글의 구조] ∙주장이나 주제 파악 ∙내용의 타당성 평가 ∙표현의 적절성 평가 ∙매체 읽기 방법의 적용 ∙내용 예측 ∙내용 요약[읽기 목적, 글의 특성] ∙설명 방법 파악 ∙논증 방법 파악 ∙관점과 형식의 비교 ∙매체의 표현 방법・의도 평가 ∙참고 자료 활용 ∙한 편의 글 읽기 ∙읽기 과정의 점검과 조정 ∙관점과 표현

방법의 평가 ∙비판적・문제

해결적 읽기 ∙읽기 과정의

점검과 조정 ‣읽기의 태도 ∙읽기 흥미 ∙읽기의 생활화 읽기의 가치를 인식하고 자발적 읽기를 생활화할 때 읽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읽기에 대한 흥미 ∙경험과 느낌 나누기 ∙읽기 습관 점검하기 ∙읽기 생활화하기 ∙자발적 읽기 (5) 국어과 교과목 ① 중학교 2009 개정 2011 개정 2015 개정 공통 과목 국어①~⑥ 국어①~⑥ 국어1-1, 1-2, 2-1, 2-2, 3-1, 3-2 선택과목 X X X ② 고등학교 2009 개정 2011 개정 2015 개정 공통 과목 X X 국어 선택과목 국어 화법과 작문Ⅰ 화법과 작문Ⅱ 독서와 문법Ⅰ 독서와 문법Ⅱ 문학Ⅰ 문학Ⅱ 국어Ⅰ 국어Ⅱ 화법과 작문 독서와 문법 문학 고전 일반 선택 과목 진로 선택 과목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실용 국어 심화 국어 고전 읽기 (6) 국어과의 수준별 교육과정 ① 수준별 교육과정 : 학습자의 능력, 흥미, 필요, 학습 속도 등에 맞게 교육 내용과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결손을 사전에 방지하여 학습자의 능력을 최대한 개발하고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한 것이다. ② 7자 교육과정 때 도입되었다. – 심화, 보충형 :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인 ‘국어’에 적용, 학년의 영역별 내용을 기본과 심화 두 가지로 나누어 제시 – 과목 선택형 : ‘화법, 독서, 작문, 문법, 문학’등을 고등학교 2,3 학년 과정에 편성하여 학생이나 학교 차원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 단계형 ③ 2007부터 학교 및 교사 수준에서의 수준별 교육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국어과 교육과정에는 모든 학습자가 공통적으로 학습해야 할 내용만 제시되고 이를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교육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도록 하고 있다.(과목 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은 은 계속 이어짐)

인쇄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과정에 ‘초등 국어 교육’의 정체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였다는 문제의식에 터하여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의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대인 관계적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초점을 두고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의 내용을 다음의 세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육의 지향점은무엇인가? 둘째, 교육과정 상에 대인 관계적 의사소통의 특성을 반영한 듣기·말하기 교육의 기본 원리와 내용은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수·학습의 특성을 반영하고 실천을 유도하는 교육과정인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 성취기준의 진술은 전통적으로 강조되어 온 화법의 담화 유형별 목적에근거한 ‘지식, 기능, 태도’에 초점을 두고 있어, 초등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정서와 가치적 측면을 충분히 드러내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대인 관계적 의사소통과관련된 성취기준과 이를 구현한 교과서의 내용을 관련지어 살펴본 결과, ‘의사소통역량,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을 함양한다는 교육과정상의 원래 의도와는 달리발표 형식의 공식적 상황에서의 말하기 수행 활동으로 구성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육은 초등 학습자의 실제적인 대인 관계적 의사소통 경험에 기반하고, 이를 적극 활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에 서 학습자의 ‘가정’ 혹은 ‘학교 밖’ 국어사용 경험에 대한 반영은 미약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speaking·listening’ domain of 2015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 focusing on the side of the identity of the Primary Korean Education. In term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following are three of the perspective analysis of the ‘speaking·listening’ domain of 2015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 First of all, what is the final purpose of teaching speaking and listening·elementary school? Secondly, How are the basic principles and contents, reflects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speaking·listening’ domain of 2015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 materialized? Third, is this the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leads student to perform.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does not present the primary language education’s fairs and value aspects. Secondly, contrary to the intent of the curriculum, knowing discourse type as a language norms is likely to be more than a learning experience to understand and choose the point of view, which reflects interpersonal communication’s properties. Third, there is no mention about the importance of language experience from Learner’s ‘home’ or ‘out of school’ on the ‘speaking·listening’ domain of 2015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 성격 및 목표

728×90

1. 성격

국어는 대한민국의 공용어로서 사고와 의사소통의 도구이자 문화 창조와 전승의 기반이다. 학습자는 국어를 활용하여 자아를 인식하고 타인과 교류하며 세계를 이해한다. 또한 다양한 국어 활동을 통해 문화를 이해・향유하며 새로운 문화의 발전에 참여한다. 한편으로, 국어는 학습의 중요한 토대이기도 하다. 학교 안과 밖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학습은 국어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국어 능력은 학습의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국어 능력이 부족하면 효과적인 학습이 어렵고 결과적으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는 학교생활을 통해 폭넓은 국어 경험을 쌓으며 일상생활과 학습에 필요한 실질적인 국어 능력을 길러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는 더 깊이 있는 사고와 효과적인 소통, 발전적인 문화 창조 능력을 갖추게 된다. 나아가 자신의 말이나 글에 책임지는 태도를 지니고, 바람직한 인성과 공동체 의식을 기름으로써 국어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초・중・고 공통 과목인 ‘국어’는 국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필요한 능력과 태도를 기르고,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국어 사용을 바탕으로 하여 국어 발전과 국어문화 창달에 이바지하려는 뜻을 세우며, 가치 있는 국어 활동을 통해 바람직한 인성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과목이다. 학습자는 ‘국어’의 학습을 통해 ‘국어’가 추구하는 역량인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자료・정보 활용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문화 향유 역량, 자기 성찰・계발 역량을 기를 수 있다.

‘국어’에서 추구하는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은 다양한 상황이나 자료, 담화, 글을 주체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고 평가하여 새롭고 독창적인 의미를 부여하거나 만드는 능력이고, 자료・정보 활용 역량은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수집, 분석, 평가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의사를 결정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다. 의사소통 역량은 음성 언어, 문자 언어, 기호와 매체 등을 활용하여 생각과 느낌, 경험을 표현하거나 이해하면서 의미를 구성하고 자아와 타인, 세계의 관계를 점검・조정하는 능력이며,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은 공동체의 가치와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상호 협력하며 관계를 맺고 갈등을 조정하는 능력이다. 그리고 문화 향유 역량은 국어로 형성・계승되는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내면화하여 수준 높은 문화를 향유・생산하는 능력이며, 자기 성찰・계발 역량은 삶의 가치와 의미를 끊임없이 반성하고 탐색하며 변화하는 사회에서 필요한 재능과 자질을 계발하고 관리하는 능력이다. 이들 역량은 미래 사회에서 필요한 핵심적인 능력 요소로서, ‘국어’는 이를 신장하기 위해 의미 있는 목표를 설정하고 적정한 성취기준 및 효과적인 교수・학습과 평가의 방향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국어’의 하위 영역은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이다. 학습자는 이들 영역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각 영역의 수행에 필요한 기능과 태도를 기름으로써 ‘국어’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국어’는 담화나 글, 작품을 정확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생각과 느낌, 경험을 효과적이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활동과, 국어가 쓰이는 실제 현상을 탐구하여 국어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반성적으로 인식하는 활동, 그리고 문학 작품을 수용하거나 생산하면서 인간의 다양한 삶을 이해하고 정서를 함양하는 활동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학습자는 이러한 활동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국어’의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국어’가 지니는 또 하나의 특성은 국어 교과가 다른 교과의 학습 및 비교과 활동과 범교과적으로 연계된다는 점이다. ‘국어’는 범교과적 내용이나 주제를 담은 담화나 글, 작품을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의 활동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데 이바지한다. 그러므로 ‘국어’의 교수・학습과 평가는 학습자가 다양한 차원의 통합적 활동을 통하여 교과 역량을 기반으로 한 실질적인 국어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2. 목표

국어로 이루어지는 이해・표현 활동 및 문법과 문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맥락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품위 있고 개성 있는 국어를 사용하며, 국어문화를 향유하면서 국어의 발전과 국어문화 창조에 이바지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가. 다양한 유형의 담화, 글, 작품을 정확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이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소통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익힌다.

나.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활동 및 문법 탐구와 문학 향유에 도움이 되는 기본 지식을 갖춘다.

다. 국어의 가치와 국어 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주체적으로 국어생활을 하는 태도를 기른다.

728×90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국어 교육 과정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2022 개정 교육과정 국어, 생활국어교과서,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종류, 고1 국어 목차, 고등학교 1학년 국어,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사회과 교육과정, 국어교육 목표

Leave a Comment